FIN

 
 

The uniquely shaped skylight curtain wall is called FIN as it resembles a fish fin. The frame of FIN, which can be considered a core element of Adaptive Architectural Design, has been completed. Much time and effort was spent determining the curvature of the refined eaves line. The site has a geomantic topography with greenery behind it. The axis facing south is located on the short side below part of the site, which is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entire building mass to receive sunlight. The movement of the sun via FIN falls on Column-Free Space. The activities of players moving healthily underneath are depicted. Active architectural devices were installed in the refined mass. It is the result of consideration for an optimized shape that responds to the innate microclimate of the site.

독특한 형상의 천창 커튼월은 물고기 지느러미를 닮았다 하여 FIN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Adaptive Architectural Design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FIN의 프레임이 완성됐다. 처마선의 곡률을 정하는데 참 많은 공을 들였다. 땅은 뒤에 녹지가 버티고 선 풍수상 선저후고 지형이다. 남쪽을 향한 축이 대지 아래 단변에 위치하고 있어 전체 건물 매스에 해를 받기에 최적의 조건이다. FIN을 따라 해의 움직임이 무주공간 필드에 떨어진다. 그 아래서 건강히 움직이는 플레이어들의 활동이 그려진다. 잘 정돈된 매스 곳곳에 능동적인 건축적 장치들을 곳곳에 배치했다. 대지가 지닌 태생적 환경에 최적화된 형상에 대한 고민.

 
 

Wondang Gateball Field_ Structural Work / 원당게이트볼장_ 골조공사

 
 

The structural part of Wondang Gateball Field has been completed. Wondang Gateball Stadium is a culmination of the will to demonstrate the architectural concept and philosophy of Adaptive Architecture, which is unfamiliar in Korea. After winning a designated architectural competition in 2022, we wanted to prove that innovation is possible in public architecture. There were countless self-deprecating architectural detail downgrades due to unrealistic construction costs, but we tried to maintain the design quality at the highest level. It is not easy for all SSK staff to overcome irrational issues based on data and numbers while pursuing new and innovative architecture. We must not lose sight of the keyword of innovation. We must avoid prolific work that has fallen into mannerisms. The work currently in progress must be able to present fresh topics to our future selves.

원당게이트볼장 골조 공사가 마무리 되었다. 지역 시공사라 걱정했던 곡면 시공 품질이 준수한 편이다. 원당게이트볼장은 국내에서 익숙치 않은 Adpative Architecture의 개념과 철학을 실증해내려는 의지의 집약체다. 2022년 지명현상에서 당선된 이후 공공건축에서도 혁신이 가능함을 증명하고 싶었다. 비현실적 공사비에 의한 자조적인 디테일 다운그레이드가 수없이 수반 되었으나 설계품질만큼은 최대치로 유지하고자 했다. 새로운 건축, 혁신적인 건축을 지향하며 비합리적 이슈들을 데이터와 숫자에 근거해서 타개해 나가려니 나도 스탭들도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혁신이라는 키워드를 놓치 않아야 한다. 매너리즘에 빠진 다작은 지양한다. 지금 진행중인 작업이 미래의 우리에게 신선한 화두를 던질 수 있어야 한다.

 
 

Eungam Hana Public Kindergarten / 2024

 
 

he Eungam Hana Public Kindergarten is a project that proposes a new spatial concept for childcare facilities that respond to the underdeveloped surrounding environment in high-density urban areas.  It is the first childcare facility of Hana Financial Group to be built in Seoul. The site is an isolated area surrounded by old commercial and residential buildings on three sides except for a narrow one-lane road. Although it is a place where a childcare facility is located, where lighting and ventilation are of the utmost importance,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a pleasant living environment due to the adjacent buildings that were built very close together. We put a lot of effort into resolving the irrationality of the old residential area and designing an efficient spatial layout. The context of the site was too poor to experiment with abstract architectural vocabulary and theoretical architectural discourse. Therefore, we tried to approach the site from a thoroughly empirical perspective. We tried to show a typical example of Korean Sustainable Adaptive Architecture in a high-density urban area based on a methodology that can be verified through data and simulation.  Specifically, the high-ceilinged stairwell atrium was placed on the south side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lighting due to the adjacent buildings. Cross ventilation was made possible through the facade that was open to the east and west, thereby responding to the changes in the microclimate around the building. In addition, slender vertical louvers were applied as a device to protect children from the surrounding gaze in the dense land, and many parts, such as the Movable Louver Frame that helps firefighters respond in emergencies, actively reflect innovative architectural methodologies. The key to high-end architecture in the public sector is how wisely it overcomes realistic constraints with realistic materials and realistic details rather than expensive materials and complex details. Ultimately, these attempts are concerned with creating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for children using the space exclusively. These efforts have made the results of numerous studies and fierce debates over the past two years a reality.

응암하나어린이집은 고밀도 도심지에서 낙후된 주변 환경에 대응하는 보육시설의 새로운 공간개념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다. 하나금융그룹의 보육시설로는 서울에는 처음으로 신축되는 보육시설이다. 사이트는 전면 1차선의 좁은 도로를 제외하고 3면이 노후 된 상가주택으로 둘러쌓인 고립된 지역이다. 채광과 환기가 무엇보다 중요한 보육시설이 위치할 입지임에도 다닥다닥 붙은 인접 건물들로 인해 쾌적한 정주환경 구축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노후 주거밀집지역의 불합리함을 해소하고 효율적인 공간레이아웃을 설계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추상적인 건축어휘와 이론에 치우친 건축담론을 실험하기에 사이트의 컨텍스트는 너무도 열악했다. 따라서 철저히 실증적인 관점에서 사이트를 대하고자 했다. 데이터와 시뮬레이션으로 실증가능한 방법론에 근거하여 고밀도 도심지에서의 한국적인 Sustainable Adaptive Architecture (지속가능한 환경적응건축)의 전형을 보여주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높은 층고의 계단실 아트리움을 남측에 두어 인접 건물로 인한 채광 부족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동서로 개방된 파사드를 통해 Cross Ventilation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물주변 Microclimate(미시기후)의 변화에 대응하고자 했다. 또한 조밀한 땅에서 주변의 시선으로 부터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써 세장한 수직루버가 적용되었고, 비상시 소방관 진입을 돕는 Movable Louver Frame까지 많은 부분에서 능동적인 혁신적 건축방법론들이 반영됐다. 공공에서의 하이엔드 건축은 값 비싼 재료, 복잡한 디테일 보다는 현실적인 재료, 현실적인 디테일로 얼마나 현명하게 현실적 제약들을 극복하느냐가 관건일 것이다. 결국 이 모든 시도들은 공간을 전용하는 아이들에게 구축해 줄 쾌적한 정주환경을 위한 고민들이다. 이러한 노력으로 지난 2년에 걸친 수많은 스터디와 치열했던 디베이트의 결과물이 현실화 될 수 있었다.

photo. namsun lee

 
 
 

SEOULTECH Library and Students Hall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I participated in a new architectural competition after winning in a competition hosted by HANA Financial Group in April. I compete with the D-firm consortium following the K-firm in Guro Station architectural competition and the H-firm in Chungju Art Centre competition. The result is the 2nd Prize. The selected work was great as well. Every month, many architects have been engaged in several competitions. Sometimes good works are selected as a winner. But in many cases, much greater works that deserve to be a winner are failed. One of the reasons I compete with Goliaths is to verify the justification of fairness in architectural competitions in Korea. If we do not compete or challenge with a sense of defeat on an uneven playing field, grotesque spaces will overflow. I believe that keeping a sense of challenge is the true attitude of a young architect. To me, the much more important thing than being a winner would be keeping a coherent architectural spectrum, and creating works that are deserved by myself after years. In that way, the 2nd Prize would be valuable.


지난 4월 하나금융 설계공모 당선 이후 오랜만에 참가한 설계공모. 구로역사의 K사, 충주예술의전당의 H사에 이어 또다른 대형 설계사인 D사 컨소시엄과 경합을 벌였다. 어느때보다 공정한 심사를 기대했다. 결과는 2등. 당선안은 훌륭했다. 매달 수개의 설계 공모에 건축가들이 뛰어든다. 훌륭한 당선작도 많지만, 그보다 더 뛰어난 작품이 낙선되는 경우도 많다. 내가 틈틈히 다윗과 골리앗 싸움에 뛰어드는 이유는 대형설계공모에서 공정한 심사의 당위성을 작품으로 증명하기 위함도 있다.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도전조차 않는다면, 우리 주변에 정체성 없는 괴공간들은 넘쳐날 수밖에 없다. 한번 부딪혀 보자는 것이 젊은 건축가의 자세가 아닐까. 당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일관성 있는 스펙트럼을 유지하는 것. 수년 뒤 나 스스로가 deserve 할 수 있는 작업을 세상에 내놓는 것. 그런 면에서 아쉬운 2등은 더 값질 수 있을 것이다.

 
210727_서울과기대_내부투시도.jpg